제보로 만드는 뉴스, '제보자' 입니다. 수년 전 광주의 한 아파트에서 대규모 이중분양 사기가 발생해 시행사 대표가 재판에 넘겨져 실형을 선고받았는데요. 정작 피해를 본 입주자들은 살던 집에서 쫓겨날 위기에 처해있습니다. 어떻게 된 일인지 김정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6년 전 광주의 한 2억 원대 신축아파트를 분양받아 입주한 김모 씨. 입주 1년 만에 날벼락 같은 일을 당했습니다. 시행사가 부도가 나면서 사업을 이어받은 주택도시보증공사가 불법 점유라며 퇴거를 요구한 겁니다. 알고 보니 시행사가 자금 확보를 위해 이중분양을 한 거였습니다. [피해자 김○○ 씨 어머니 : "지금 어떻게 할 수도 없어요. 우리 아들이 지금 어디 다른 데 집이라도 얻어서 나갈 수 있는 돈도 없고. 자기도 저런 상태(암 투병)에 월급쟁이가 손을 놔버렸고..."] 피해자는 김씨 뿐만이 아닙니다. 전체 140여 세대 중 3분의 1이 이중분양으로 드러나면서, 사기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시행사 대표는 실형을 선고받았습니다. 하지만, 피해자들 일부는 5년 넘게 보증공사와 명도소송을 이어가며 고통스런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김△△/이중분양 사기 피해자 : "만약에 HUG(주택도시보증공사)가 제대로 저희가 이 집의 주인이 확실히 맞는지 안 맞는지 파악하고 입주를 시켰다면 여러 문제가 전혀 발생이 되지 않거든요."] 주택도시보증공사는 분양 사고에서 보호받으려면 보증공사 지정 계좌에 대금을 입금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피해자들이 계약 당시 시행사가 제시한 임의의 계좌에 대금을 입금해 소유권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여기에 그동안 거주한 게 부당 이득에 해당한다며 월 70에서 90만 원의 임대료까지 청구한 상탭니다. 지난해 1심에서 재판부는 입주자 모집 공고와 약관 등에 이 같은 내용이 적시됐다며 보증공사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분양 사고를 방지하고 피해자를 보호해야 할 보증공사가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경은/변호사 : "분양자들이 제대로 입금했는지 시행사가 아닌 주택보증공사로 입금하는지. (이 사건은) 입주증이 다 나갔거든요. 시행사에 대한 관리 감독의 책임도 분명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당장 오갈 데가 없어 일상도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명도 소송을 이어가야만 하는 피해자만 20여 세대. 다음 달 열릴 2심 선고에서도 패소할 경우 강제 집행에 따른 퇴거 위기에 놓여있습니다. KBS 뉴스 김정대입니다. 촬영기자:안재훈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8330799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email protected]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지역뉴스 #광주 #이중분양 #강제퇴거 #부동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