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한국인?" 고국을 잊지 않은 자이니치 [자이니치, 당신은 누구십니까 ① ②] [MBN 뉴스7]

시사 정치 뉴스


시사 정치 경제 뉴스 토론 모음

"일본인? 한국인?" 고국을 잊지 않은 자이니치 [자이니치, 당신은 누구십니까 ① ②] [MBN 뉴스7]

오피파라다이스
【 앵커멘트 】 올해는 광복 80주년입니다. 하지만 아직도 일본에 남겨진 사람들이 있죠. 바로 '일본에 있다'는 의미의 자이니치, 재일교포들입니다. 대다수가 경상도(61%) 등 남한 출신이 95%에 육박하는데, 현해탄을 못 넘어온 겁니다. 100년이 지난 지금 이들은 어느나라 사람인 걸까요? 주진희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저는 재일동포 3세""재일교포 3세 김지수입니다""저는 자이니치 2세""자이니치 3세입니다" 또 다른 한국인, 30만 자이니치 ▶ 스탠딩 : 주진희 / 기자 (일본 오사카 이쿠노)- "이곳은 일본의 제주도라고 불리는 오사카 이쿠노입니다. 가장 많은 자이니치가 살고 있죠. 1919년 이곳 운하 공사를 위해 5천 명의 조선인이 와서, 코리아 타운이 시작됐습니다. " 식민지 때 건너와, 귀국을 기다리다 6.25 전쟁 등으로 남게 된 사람들, 바로 '올드커머·자이니치'입니다. 그들은 한국인일까, 일본인일까. 광복 직후, 자이니치들은 모두 '조선 국적'이었습니다.▶ 인터뷰 : 정영환 / 메이지대학 역사학과 교수- "1947년 시점에서 일본이 외국인 등록령이란 법을 만들어서, 일단 (자이니치는) '조선'이라고 쓰라고 지시했던 거예요. 그러니까 47년 시점에서 외국인등록상 국적은 다 조선이었어요." 일본이 행정 편의를 위해, 조선반도라는 '지명'을 '국적'으로 쓴 겁니다. 사실상 무국적이라 어떤 사회보장도 받을 수 없었는데, 1965년 한일 수교를 거치면서 큰 전환점이 생깁니다.▶ 인터뷰 : 김길호 / 전 민단 오사카 이쿠노지부 단장-"'조선적이라는 '지명'을 한국 '국적'으로 바꿉시다' 그런 운동이 있었어요. (일본) 구청에 가서 '지금 제가 조선으로 돼있는데, 한국으로 바꿔줘요'라고 하면 그냥 한국으로 고쳐줬다니까." 이렇게 대다수는 한국 국적자가 됐고 많은 사람들은 일본으로 귀화했지만, 일부는 지금도 조선 국적을 그대로 남겨두고 있습니다. 엄밀하게 식민지 역사의 산물인 '조선국적'을 유지하고 있는 겁니다.▶ 인터뷰 : 안영학 / 재일교포 축구선수- "사실상은 국적이 아니라 무국적인데, 조선적은 제 할아버지 할머니가 지켜와주신 것이고 제게 있어서는 소중한 거라고 생각하고…."-------------------- [쏟아지는 차별·억압들]"조센징 더러워, 역겨워, 마늘 냄새 나"무시당하지 않으려고 옷은 깨끗하게 입고, 못 먹어도 교육은 받았어요. [설움 속 이어진 조국을 향한 공헌들]【 기자 】 "좌우간 일본에겐 꼭 이겨야 된다, 30여 년간 일본 사람들에게 고생을…" 1954년 첫 월드컵 한일전 당시 전쟁에서 막 벗어난 한국을 위해 자이니치는 축구화·체류 비용 등을 지원했고 결과는 5대 1 압승.▶ 인터뷰 : 오공태 / 동경한국학교 이사장- "한국에서는 돈이 없어서 (선수를) 보낼 수 가 없었어요. 재일동포 체육 관계자들이 모여서 "요코하마까지 오세요, 그러면 우리가 돈도, 유니폼도, 다 준비해가지고…" 유도계에선 1964년 자이니치 김의태 선수가 태극기를 달고 첫 메달을 딴 뒤, 안창림 허미미같은 후배 선수들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 김지수 / 한국 유도 국가대표- "국가 대표를 열심히 해야겠다는 그런 마음이 많이 생긴 거 같아요" (열심히 하겠습니다!) 일본에서 최고의 땅 값을 자랑하는 도쿄 미나미 아자부에 우뚝 선 한국 대사관, 전쟁 중에 어떻게 비싼 땅을 살 수 있었을까.▶ 스탠딩 : 주진희 / 기자 (주일한국대사관)- "'일본의 심장에 태극기를 꽃겠다' 1952년 자이니치 사업가인 서갑호씨가 이 곳 대사관 땅을 사서 기증했습니다. 부지만 3천 평, 현재 시가는 1조원에 달합니다."▶ 인터뷰 : 서갑호 회장 손녀- "(할아버지가) 일본에서 고통받고 살았잖아요. 그래서 대사관이라도 크면, 자랑스러울 것이라고 기증했어요." 이렇게 한국 공관 10곳 중 9곳이 자이니치들이 모은 기부금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왜 이렇게까지 하는 걸까."하나 깨달은 건, 어디 사람인 지는 결국 '뿌리'라는 거죠." "한국인의 긍지를 가지라고 교육받았어요." MBN뉴스 주진희입니다.[[email protected]]*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영상취재 : 김 원 기자 영상편집 : 양성훈 그 래 픽 : 김정연·최지훈Copyright MBN. All rights reserved.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MBN 유튜브 구독하기 ☞ https://goo.gl/6ZsJGT
0 Comments
제목
시사 뉴스

최근글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