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수련병원의 하반기 전공의 모집이 오늘부터 시작됐습니다. 만 3천여 명을 뽑는데, 그간 병원을 지켜온 교수와 간호사들 속내는 복잡합니다. 지난 1년 6개월 깊어질 대로 깊어진 갈등의 골을 어떻게 봉합하느냐가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진선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정부와 의료계의 합의에 따라 전국 수련병원들이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들어갔습니다. 오는 29일까지 만 3천여 명을 뽑아 다음 달 1일 수련을 재개합니다. 정부가 입영 특례 등으로 전공의 복귀의 길을 터주면서 상당수 전공의들이 지원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벌써부터 의료 현장에선 진통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전국 병원의 PA 간호사는 만 8천여 명. 그동안 전공의 업무를 대신해 온 PA 간호사들과 복귀 전공의들의 업무 배분이 아직 안갯속입니다.[대학병원 PA 간호사/음성변조 : "아무것도 지금 정리된 게 없어요. 업무 정리를 어떻게 할지는 아직 모르겠다고 다들 하시니까…."][복귀 전공의/음성변조 : "저는 깜짝 놀랐어요. (PA 간호사들이) 이 정도로 할 수가 있구나. 특히 내과 계신 분은 거의 (전공의) 2년 차 정도의…."] 병원 입장에선 전공의들이 복귀하면 인건비 부담도 늘게 됩니다.[대학병원 교수/음성변조 : "PA(간호사)까지 충원을 했는데 (전공의들한테) 인건비가 또 나가잖아요. 운영자 입장으로서 일부 푸념을 하는 거지 그렇다고 제자들을 안 받을 수가 있나요."] 의정 갈등 1년 6개월, 제자이자 후배인 전공의들부터 손가락질을 당하면서 마음의 상처도 컸습니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선 투쟁을 주도한 특정 전공의 복귀를 반대하는 기류까지 포착되고 있습니다.[A의과대학 교수 : "앙금이 서로 남아 있는 부분은 어쩔 수가 없죠. 분위기 자체가 대학 병원에 남는 사람들을 제대로 교육하지, 어차피 떠날 전공의를 교육할 의사는 별로 없다…."] 이번에도 지역이나 필수 의료 분야에선 전공의 지원율이 저조할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환자단체는 전공의들이 다시 집단행동에 나설 수 있다며 환자 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진선민입니다. 촬영기자:최석규/영상편집:강정희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8327158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email protected]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전공의지원 #수련병원 #음성변조 #교수간호사 #갈등